본문 바로가기

논어옹야9

논어, 자신을 미루어 다른 사람을 생각하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자신을 미루어 다른 사람을 생각하라'논어, 옹야(군자의 마음가짐을 배우려면)' 인(仁)한 자는 자기가 서 있고 싶은 곳에 다른 사람도 설 수 있게 해주고, 자기가 통달하고 싶은 것에 다른 사람도 통달하게 해준다. 가까이 자신을 미루어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아는 것이 인(仁)을 얻는 방편이라 할 수 있다. 에서 공자는 여러 차례 인(仁)에 대해 말한다. 인(仁)한 사람은 천지만물과 자기 몸을 다르게 보지 않는다. 모든 것을 자신의 몸처럼 생각한다. 내가 무엇인가 얻고 싶다면 다른 사람도 그것을 원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자신의 욕구를 미루어 보아 다른 사람의 욕구를 헤아린다. 내가 깨닫고 통달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다른 사람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너와 내가 다르지 않다는 ..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14.
논어, 지혜로운 자와 인덕이 있는 자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지혜로운 자와 인덕이 있는 자'논어, 옹야(군자의 마음가짐을 배우려면)' 지혜로운 자는 물을 좋아하고, 인덕이 있는 자는 산을 좋아한다. 지혜로운 자는 동적이고, 인덕이 있는 자는 정적이다. 지혜로운 자는 즐기고, 인덕이 있는 자는 장수한다. 지혜로운 자와 인덕이 있는 자의 특징을 재치 있게 설명한 말이다. '지혜롭다'는 것은 단순히 지식이 많다는 의미가 아니다.  사물의 이치에 통달하여 꽉 막히지 않고 두루 통한다는 것이다. 막힘이 없이 흐르는 물처럼 동적이다. 움직임이 자유롭고 속박되지 않으면 근심이 적다. 즐기면서 살 수 있다. '인덕이 있다'는 것은 어떤 응석이라도 다 받아줄 것 같은 무게감이 있다. 산과 같이 정적이고 당당하다. 마음에 거리낌이 없고 떳떳하니 장..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13.
논어, 모두의 이익을 행하는 것이 인(仁)이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모두의 이익을 행하는 것이 인이다'논어, 옹야(군자의 마음가짐을 배우려면)' 어려운 일을 먼저 하고 얻는 것을 나중에 하면, 인이라 할 수 있다. 인덕이 있는 사람은 남들이 꺼리는 어려운 일을 피하지 않는다. '얻는 것을 나중에 한다'는 말은 두 가지로 해설할 수 있다. 첫째, 어려운 일을 한 뒤에 그 결과로 얻는 이익에 대해서 조급함을 가지지 않는 것이다. 베푼 것에 대해 빠른 보답을 바라지 않는 것이다. 둘째,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어려운 일은 남보다 앞서서 하고, 개인에게 이익이 되는 일은 남보다 뒤에 한다는 것이다. 어느 쪽이든 뜻이 통한다. 모두의 이익을 위한 일은 앞장서 행하고, 자신의 이익은 뒤에 생각하는 것은 남과 나를 다르게 생각하지 않는 사랑이 있어야 ..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12.
논어, 즐기는 자는 이길 수 없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즐기는 자는 이길 수 없다'논어, 옹야(군자의 마음가짐을 배우려면)' 배움의 좋은 점을 아는 사람은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보다는 못하고, 좋아만 하는 사람은 그것을 즐기는 사람보다는 못하다. 이 말의 대상을 학문에만 국한해서 해석할 필요는 없지만, 에서 전반적으로 배움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학문의 단계를 이야기한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무엇인가 배우는 행위의 유익함을 알기만 하는 것은 자신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실제로 배워야 성장할 수 있다. 배울 때는 억지로 하는 것보다는 좋아서 하는 것이 오래간다. 하지만 의미 있는 성과를 얻지 못하면 지속하기 힘들고 이내 시들해진다. 좋아하는 것에 몰입하면서 성과를 얻고 성취감을 느낄 때 진정 배움을 즐길 수 있다. 배움을..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11.
논어, 삶의 이치는 정직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삶의 이치는 정직'논어, 옹야(군자의 마음가짐을 배우려면)' 사람이 살아가는 이치는 정직이다. 속임수로도 살아갈 수 있지만, 그것은 요행히 화를 면하고 있는 것일 뿐이다. 정직한 사람이라고 해서 모두 복을 받으며 잘 살지는 않는다. 정직하지 않은 사람이라고 해서 모두 그에 합당한 대가를 치르며 사는 것도 아니다. 그렇더라도 정직하게 살아가는 것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삶의 이치는 본래 정직이다. 정직은 생각을 바르게 하고, 사실에 어긋나는 말을 하지 않으며, 도리에 맞게 행동하는 것이다.  봄에 씨를 심으면 가을에 그 열매를 거두듯이, 뿌린 대로 거두는 것이 삶이다. 정직하지 않은 생각을 품고 말과 행동을 하면서도 잘살고 있다면 그것은 요행일 뿐이다. 남을 속이는 그 사..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10.
논어, 자랑하면 도리어 깎인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자랑하면 도리어 깎인다'논어, 옹야(군자의 마음가짐을 배우려면)' 맹지반은 공을 자랑하지 않았다. 패해 달아날 때 후미에서 엄호하고서도, 자신의 말을 채찍질하면서 '내가 감히 뒤에서 엄호하려 한 게 아니라, 말이 가려 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공자가 살았던 시대에는 전쟁에서 패했을 때 군의 가장 뒤에서 적을 막아가면서 아군을 보호하는 것이 가장 큰 미덕이었다. 노나라의 대부 맹지반은 제나라와의 전쟁에서 아군이 패해 퇴각할 때 후미에서 엄호했으나 자신의 공을 내세우지 않았다.  공자는 이렇게 자신의 공을 내세우지 않는 자세를 칭찬했다. 자신의 공을 내세우면 오히려 그것을 깎아먹는다. 남에게 친절을 베풀고 생색내면 고마움보다는 오히려 반감을 살 수 있듯이, 겸손하지 않으면..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9.
논어, 스스로 한계를 만들지 마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스스로 한계를 만들지 마라'논어, 옹야(군자의 마음가짐을 배우려면)' 힘이 부족한 사람은 중도에 그만둔다. 지금 너는 스스로 한계선을 긋고 있는 것이다. 염구가 공자에게 자신이 공자가 주장하는 도를 좋아하지 않는 것은 아니나, 나아가려고 해도 힘이 부족해서 더 나아가기가 힘들다고 말했다. 이에 공자가 스스로 한계선을 그어놓고 행하지 않기 때문이지, 힘이 부족해서 성장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고 일침을 놓는다. 우리가 무엇을 성취하느냐, 그렇지 못하느냐 하는 것은 의식의 한계가 어디에 있는지에 달려 있다. 나를 한계 짓는 그 의식이 그것을 이루지 못하게 할 뿐이지, 힘이 부족한 것이 아니다. 만약 염구가 술이나 소고기를 좋아하듯 배움을 즐겼다면 이런 말을 했을까? 염구는 힘..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8.
논어, 가난에 마음을 얽매이지 마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가난에 마음을 얽매이지 마라'논어, 옹야(군자의 마음가짐을 배우려면)' 어질구나, 안회여! 한 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로 누추한 방에서 지내는구나. 사람들은 그 근심을 견디지 못하는데, 안회는 그 즐거움을 고치지 않으니, 어질구나, 안회여! 가난한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 안회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이 말은 안회가 가난함을 즐겼다는 것이 아니다. 그가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만의 즐거움을 놓치지 않고 내면의 중심을 잡고 정진한 자세를 칭찬한 것이다. 만약 현재 가난한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근심하고 부끄러워할 필요는 없다. 가난한 현실은 가치 중립적이다. 사람들이 가난을 부끄럽게 여기고, 근심하는 것일 뿐이다. 가난한 가운데서도 스스로 인간의 도리를 공부하고, 인격 완..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7.
논어, 허물을 되풀이하지 마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허물을 되풀이하지 마라'논어, 옹야(군자의 마음가짐을 배우려면)' (안회는) 자기 노여움을 남에게 옮기지 않고, 같은 잘못을 두 번 저지르지 않았다. 노나라의 애공이 공자에게 제자들 중 가장 배움을 좋아하는 자가 누구인지 물었다. 공자는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제자 안회가 가장 배움을 좋아하여 노여움을 옮기지 않고, 잘못을 두 번 저지르지 않았다고 말했다. 공자가 안회를 높게 평한 것은 안회의 배움이 단순히 책에 나온 글을 외우거나 글을 짓는 범주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안회는 인간다움의 길을 공부하면서 배운 것을 삶에 적용하고 적극 실천했다.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 화풀이하는 것은 아직 자신의 감정에 지배당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한 번 잘못하고 나서 배움을 얻지 못..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