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입교편5

명심보감, 10가지 어리석음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10가지 잘못을 고쳐라'명심보감, 입교편(가르침의 원칙을 세우라)' 무왕이 말하였다. "그 내용을 듣고 싶습니다." 태공이 대답하였다. "첫째 잘못은 아들을 키우며 가르치지 않음이요. 두 번째 오류는 어린이를 기르며 타이르지 않는 것입니다. 처음 맞아들인 신부를 엄하게 가르치지 않음이 세 번째 어리석음입니다. 말하기 전에 먼저 웃어버리는 것이 네 번째 과실이요. 부모를 봉양하지 않는 것이 다섯 번째 거스름입니다. 밤에 알몸으로 일어남이 여섯 번째 상서롭지 못한 일입니다.  남의 활을 당기기를 좋아하는 것이 일곱 번째 상스러움이오. 남의 말 타기를 좋아하는 것이 여덟 번째의 천함이고, 아홉 번째 남의 술을 얻어 마시면서 다른 사람에게 권하는 어리석음이며, 열 번째 남의 밥..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4. 5. 19.
명심보감, 잘 살고 건강하게 사는 비결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잘 살고 건강하게 사는 비결'명심보감, 입교편(가르침의 원칙을 세우라)' 장사숙의 '좌우명'에 말하였다. "무릇 말은 충정과 신의가 있어야 하고, 행실은 돈독하고 공손해야 하며, 음식은 반드시 절제하고 삼가야 한다. 글씨는 반드시 똑똑하고 바르게 써야하며, 용모는 단정하고 위엄이 있어야 하며, 옷차림은 정돈하여 바르게 하고, 걸음걸이는 필히 안정되고 차분해야 한다. 거처는 정숙하게 해야 하며, 일은 계획을 세워 시작하고, 말을 할 때는 실행 여부를 따져볼 것이며, 평상의 덕을 굳게 가지고, 승낙을 할 때는 신중히 응해야 하며, 선을 보거든 내일처럼 즐겨서 하며, 악을 보거든 내 허물인 양 미워하고 바로잡아야 한다. 나는 이 14가지 일에 충분히 깨닫고 대응하지 못하고 있..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4. 4. 27.
명심보감, 봄에 씨 뿌려야 가을에 추수한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 봄에 씨 뿌려야 가을에 추수한다 '명심보감, 입교편(가르침의 원칙을 세우라)' 공자가 '삼계도'를 말하였다. "일생의 계획은 어릴 때에 있고, 한 해의 계획은 봄에 있고,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있다. 어려서 배우지 않으면 늙어 아는 것이 없으며, 봄에 밭을 갈지 않으면 가을에 거둘 것이 없다. 새벽에 일어나지 않으면 하루의 일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것이다." 월간 '현대경영'에서 우리나라 100대 기업 대표 40명을 조사한 결과, 평균 기상 시간은 5시 45분, 평균 출근 시간은 7시 47분으로 나왔다. 그들은 하루 중 아침을 생산성이 가장 높은 때라고 생각했는데, 이런 사실은 과학적으로 증명이 된다. 사람의 두뇌는 아침 6시부터 8시에 가장 명석해진다고 한다. 아침에는..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4. 4. 22.
명심보감, 최고의 도둑은 게으름이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 최고의 도둑은 게으름이다 '명심보감, 입교편(가르침의 원칙을 세우라)' 무왕이 물었다. "집에 열 가지 유형의 도둑이 없음에도 부자가 되지 못하는 것은 어찌 된 것입니까?" 태공이 말하였다. "그런 집안에는 반드시 세 가지 소모 요인이 있을 것입니다." "그것이 무엇입니까?" "창고가 뚫렸음에도 정비하지 않아 흘러나오는 곡식을 쥐와 새들이 먹어치우는 것이 첫째 소모입니다. 거두고 씨 뿌리는 시기를 놓치는 것이 둘째이며, 곡식을 흘리고 함부로 다루는 것이 셋째 소모입니다." 한 상인에게 늦잠꾸러기 아들이 있었다. 나태에 대한 아버지의 거듭되는 훈계에도 불구하고 그 게으른 아들은 여전히 해가 중천에 뜨기 전에는 좀처럼 일어나려고 하지 않았다. 마침내 그 상인은 아들을 일찍..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4. 4. 18.
명심보감, 마음을 닦아 스스로를 경계하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 마음을 닦아 스스로를 경계하라 '명심보감, 입교편(가르침의 원칙을 세우라)' 범익겸이 '좌우명'에서 말하였다. "첫째 조정의 이해관계, 변방의 보고, 관직의 임명에 대해 말하지 말라. 둘째 주현 관원들의 장단점이나 득실을 말하지 말라. 셋째 여러 사람이 저지른 허물과 악행을 말하지 말며, 넷째 벼슬하여 관직에 나아가고, 기회를 따라 권세에 아부하는 일에 대하여 말하지 말라. 다섯째 재물의 이익이 많고 적음이나 가난을 싫어하고 부귀를 구하는 일을 말하지 말며, 여섯째 음란 난잡한 잡담이나 여색을 논평하는 일을 하지 말라. 일곱째 남의 물건을 탐하지 말고 술과 음식을 찾는 말을 하지 말라. 남의 서신을 열어보거나 전달을 지체하거나 손상해서는 안 되며, 타인의 사적인 글을 ..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4.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