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족5 힘이 되는 좋은 글귀, 호사다마 (好事多魔)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 호사다마 (好事多魔) '아침의 좋은글 中' 살다 보면 무심코 한 행동과 말 때문에 구설수에 오르기도 한다. 사업을 했다가 큰 이익을 보기도, 큰 손해를 보기도 한다. 뜻밖의 자연 재앙으로 불행이 오기도, 귀인을 만나 행운이 오기도 한다. 나와 관계 없이 불행이 닥치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 자신으로 부터 불행이 시작 된다. 바로 만족할 줄 모르는 끝없는 욕심이 원인이다. 노자는 말합니다. "만족을 모르는 것보다 더 큰 화가 없고, 욕심을 채우려 하는 것보다 더 큰 재앙은 없다고" [출처] 아침의 좋은글 中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명심보감, 가득 차면 넘친다 명심보감, 인을 베풀고 덕을 펼쳐라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4. 4. 16. 더보기 ›› 명심보감, 넉넉한 줄 알고 항상 만족하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 넉넉한 줄 알고 항상 만족하라 '명심보감, 안분편(분수를 지키라)' 넉넉한 줄을 알고 항상 만족하면 종신토록 욕되지 않고, 그칠 줄을 알고 항상 그치면 종신토록 부끄러움이 없다. 어떤 가족이 여행 도중에 한 마을에 들렀다. 지나가다 보니 어떤 집 문 앞 난간에 중년의 남자가 편안하게 앉아 쉬고 있었다. 그것을 본 아버지가 한 숨을 쉬며 말했다. "아, 나도 저렇게 맨날 문 밖에 가만히 앉아 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 말을 듣고 있던 아들이 대뜸 물었다. "아버지, 난간에 기대 놓은 목발을 보셨어요?" 사람은 자기의 형편에 자족할 줄 모른다. 남의 손에 있는 떡이 더 커 보이는 것이다. 가장 좋은 것을 소유하고도 남이 가진 것을 탐내는 것이 사람이다. 욕심을 채..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3. 10. 13. 더보기 ›› 명심보감, 만족할 줄 알아야 행복하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 만족할 줄 알아야 행복하다 '명심보감, 안분편(분수를 지키라)' 만족함을 아는 사람은 가난하고 천해도 역시 즐겁고, 만족함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부하고 귀해도 또한 근심한다. '이 세상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은 가장 적은 것으로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이다.'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한 말이다. 하지만 세상에는 만족할 줄 아는 사람보다 그렇지 못한 사람이 더 많다. 미국의 대부호였던 하워드 휴즈 역시 만족을 모르는 불행한 사람이었다. 그는 젊은 나이에 엄청난 재산을 모아 주위 사람들의 부러움을 샀다. 요즘 세계적으로 명성을 날리고 있는 할리우드 영화도 하워드 휴즈가 벌인 초창기 프로젝트 중의 하나였다. 또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뉴욕 브로드웨이 연극과 뮤지컬 사업 역시 그에..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3. 10. 12. 더보기 ›› 채근담 좋은 글귀, 사람이라면 마땅히 해야 하는 일 사람이라면 마땅히 해야 하는 일 어버이는 자식을 우애하고 아들은 어버이에게 효도하며 형은 아우를 감싸고 아우는 형을 공경함이 지극한 경지에 이르더라도 당연히 여기고 털끝만큼도 감격하지 말아야 한다. 만일 베푸는 자가 스스로 덕이 있다고 여기고 받는 자가 감사하는 마음을 품으면 이는 길 가는 사람들의 일이요 길거리의 도일 뿐이다. '채근담' [출처] 10대 언어보감 '나를 이끌어주는 좋은 말 좋은 생각', 마라북스 만족이란 이 세상에 없는데 우리 모두 이 세상에 없는 것을 위해 열심히 달리고 있는 것입니다. 불만족한 것을 받아들일 줄 알아야 비로소 만족의 덫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출처] 10대 언어보감 '나를 이끌어주는 좋은 말 좋은 생각', 마라북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2. 9. 21. 더보기 ›› 한용운 시인 명언 & 성경구절 '거만한 마음은 넘어짐의 앞잡이' 불만족을 받아들여야 비로소 만족의 덧에서 벗어날 수 있다 세상에 만족이 있느냐. 인생에서 만족이 있느냐. 있다면 나에게도 있으리라. 세상에 만족이 있기는 하지만 사람 앞에만 있다. 거리는 사람의 팔 길이와 같고, 속력은 사람의 걸음과 비례가 된다. 만족은 잡으려야 잡을 수도 없고, 버리려야 버릴 수도 없다. 만족은 얻고 보면 얻은 것은 불만족이오. 만족은 의연히 앞에 있다. 만족은 우자나 성자의 주관적 소유가 아니면, 약자의 기대뿐이다. 만족은 언제나 인생과 수적 평행이다. '한용운, 〈만족〉' [출처] 10대 언어보감 '나를 이끌어주는 좋은 말 좋은 생각', 마라북스 교만한 자는 패망의 선봉이요. 거만한 마음은 넘어짐의 앞잡이니라. '성경구절' [출처] 아침을 여는 마음산책, 고은정엮음 ▶함께 읽으면 ..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2. 9. 20. 더보기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