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 여행 감염병 주의, '치사율 30% 박테리아 공포'

알바트로우스 2024. 3. 20.

요즘 제주도 물가로 인한 여행객들의 피로도 증가와 엔저 현상 등이 겹치면서 일본을 여행하는 관광객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일본 여행시 감염병 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일본 전역에서 치사율 30%의 박테리아 감염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외신들도 최근 일본 전역에서 연쇄구균독성쇼크증후군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일본 보건 당국이 원인 규명에 힘쓰고 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일본 여행객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감염병으로 연쇄구균독성쇼크증후군이 무엇인지? 어떤 주의가 필요한지 살펴보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내용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


대부분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은 화농성 연쇄구균이라는 박테리아로 인해 발병이 됩니다. 일본 연구소 발표에 따르면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은 작년 한해 동안 941건이 발병했으며, 올해는 2월 한 달 동안 벌써 378건이 발병한 상황입니다.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 전파경로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의 전파경로는 신체 접촉 및 비말을 통해서 입니다. 또한, 박테리아는 손, 발 등 신체의 상처 부위를 통해서도 환자를 감염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치사율 30% 박테리아


이 화농성 연쇄구균이라는 박테리아의 치사율이 무려 30%를 넘어 공포 스러운 상황입니다. 일본 47개 현 중에서 2개 현을 제외한 모든 현에서 박테리아 감염이 확인 되었습니다. 지난해 7월이후 12월까지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 진단을 받은 50세 미만의 환자 65명 중 약 1/3에 해당되는 21명이 사망했다는 사실이 생각보다 심각하게 다가옵니다.

 

 

  박테리아 감염 시 주요증상


해당 박테리아 감염 시 주요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본인이 감염된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전염성이 강한 박테리아의 경우 30세 이상의 성인에게 심각한 질병, 합병증 및 사망까지 일으킬 수 있습니다.

어린 아이에게는 주로 목 부위 통증을 유발하고, 노인의 경우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경험할 수 있지만 드물게는 패혈성 인두염, 편도선염, 뇌수막염, 폐렴 등으로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고 합니다. 심하면 장기 부전과 괴사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많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박테리아 치료 및 예방법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을 일으키는 화농성 연쇄구균이라는 박테리아는 항생제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심각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집중 치료가 필요합니다. 해당 박테리아가 코로나19처럼 신체의 접촉과 비말 등으로 전파되기 때문에 일본을 여행하는 관광객이라면 아래와 같은 예방법을 철저히 지킬 필요가 있겠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워낙 큰 고통을 경험했기에 가능하다면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혼란스러운 시기에는 여행 일정을 조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 손을 개끗하게 씻기
  • 항상 청결을 유지하기
  •  기침 예절 실천 (마스크, 입 가리기 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