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용운5 한용운, 나는 당신을 그렇게 사랑하렵니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 나는 당신을 그렇게 사랑하렵니다 '한용운' 함께 영원히 있을 수 없음을 슬퍼 말고 잠시라도 함께 있을 수 있음을 기뻐하고. 더 좋아해주지 않음을 노여워 말고 이만큼 좋아해주는 것에 만족하고. 나만 애태운다고 원망치 말고 더 많이 줄 수 없음을 아파하고. 남과 함께 즐거워한다고 질투하지 말고 그의 기쁨이라 여겨 함께 기뻐할 줄 알고. 이룰 수 없는 사랑이라 일찍 포기하지 말고 깨끗한 사랑으로 오래 간직할 수 있는 나는 당신을 그렇게 사랑하렵니다. [출처] 좋은글 여기다있네, 이가출판사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마사 메리 마고, 당신의 각본을 쓰십시오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3. 7. 4. 더보기 ›› 세종대왕, 관계의 기본 / 한용운 〈조선 독립에 대한 감상의 개요〉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 #1 관계의 기본 다른 사람에게 너그러운 자는 사람들의 마음을 얻을 수 있지만, 힘과 권력으로 엄하게 다스리는 자는 사람들의 노여움을 얻는다. '세종대왕' 인간관계 십계명 1. 사람들에게 환영한다고 말하라. 2. 사람들을 웃음으로 대하라. 3. 그 사람의 이름을 불러라. 4. 친절한 모습을 유지하라. 5. 성심껏 행하라. 6. 진정으로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져라. 7. 칭찬은 관대하게, 비판은 조심스럽게 하라. 8. 타인의 감정을 잘 고려하라. 9. 타인의 견해를 신중하게 판단하라. 10. 남을 위한 일에 기민하게 행동하라. [출처] 아침을 여는 마음산책, 고은정엮음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 #2 행복이란 평등한 관계 속에서 얻어지는 것 자유는 만물의 생명이요..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2. 10. 19. 더보기 ›› 한용운 〈계언〉, 언어는 곧 인격이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 #1 언어는 곧 인격이다 사람의 인격은 그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를 통해 드러난다. 언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보면 사람을 대하는 태도, 사물을 다루는 태도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언어는 처세술의 핵심이다. 언어에는 그 사람의 사상, 성격, 학문적 깊이 등 모든 것이 담긴다. 훌융한 인격을 가진 사람이 사용하는 훌륭한 언어는 복과 성공을 부르지만 그릇된 인격을 가진 사람이 사용하는 그릇된 언어는 화와 실패를 부른다. [출처] 10대 언어보감 '나를 이끌어주는 좋은 말 좋은 생각', 마리북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 #2 뻐꾸기의 한탄 남에게 베풀고자 하는 마음이 없으면 결국 홀로 삶을 살아가야 한다. '요셉 I 밀러' 뻐꾸기 한 마리가 슬피 울고 있었..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2. 10. 4. 더보기 ›› 한용운 〈인내〉, 인내와 굴종은 다르다 / 체이닝 명언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 -인생명언 #1 인내와 굴종은 다르다 인내라는 것은 참기 어려운 것, 혹은 참을 수 없는 것을 참는 것이니, 그러고 보면 인내는 즉 고통이다. 세상에는 고통을 좋아하는 사람은 별로 없으니, 고통을 싫어하는 사람에게는 인내가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인내는 고통을 받기 위한 인내가 아니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필지의 곤란을 방편적으로 인내하는 것이니, 다시 말하면 인내는 고통을 위한 인내가 아니요, 목적을 위한 인내다. 그런데 인내를 굴종과 분간치 아니하면 아니 되느니, 유시에는 인내를 굴종으로 오인하기도 쉽고 굴종을 인내로 가식하기도 쉬운 것이다. 인내라는 것은 참지 아니하려면 참지 아니할 수가 있는 것을 목적을 위해 능히 참는 것이요. 굴종이라는 것은 아니 참으려야 아..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2. 10. 3. 더보기 ›› 한용운 시인 명언 & 성경구절 '거만한 마음은 넘어짐의 앞잡이' 불만족을 받아들여야 비로소 만족의 덧에서 벗어날 수 있다 세상에 만족이 있느냐. 인생에서 만족이 있느냐. 있다면 나에게도 있으리라. 세상에 만족이 있기는 하지만 사람 앞에만 있다. 거리는 사람의 팔 길이와 같고, 속력은 사람의 걸음과 비례가 된다. 만족은 잡으려야 잡을 수도 없고, 버리려야 버릴 수도 없다. 만족은 얻고 보면 얻은 것은 불만족이오. 만족은 의연히 앞에 있다. 만족은 우자나 성자의 주관적 소유가 아니면, 약자의 기대뿐이다. 만족은 언제나 인생과 수적 평행이다. '한용운, 〈만족〉' [출처] 10대 언어보감 '나를 이끌어주는 좋은 말 좋은 생각', 마라북스 교만한 자는 패망의 선봉이요. 거만한 마음은 넘어짐의 앞잡이니라. '성경구절' [출처] 아침을 여는 마음산책, 고은정엮음 ▶함께 읽으면 ..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2. 9. 20. 더보기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