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술이10

논어,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따르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따르라'논어, 술이(겸손한 태도로 학문에 임하려면)' 부유함을 구하여 얻을 수 있다면, 비록 채찍을 잡는 일이라도 할 것이다. 만일 구하여 얻을 수 없다면, 내가 좋아하는 바를 따를 것이다. 부유함을 추구하는 것에 대한 공자의 생각은 두 가지로 해설할 수 있다. 첫째, 공자는 애초에 부를 구하는 것에 뜻을 두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그렇게 생각해보면 부를 구하여 얻을 수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 여부는 중요한 것이 아니다. 오직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라는 말이다. 둘째, 공자라고 해서 부귀영화를 싫어한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부는 좋지만, 그것은 오직 하늘에 달린 것이기에 그것에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마음을 내려놓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따..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24.
논어, 의롭지 않은 부귀는 멀리하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의롭지 않은 부귀는 멀리하라'논어, 술이(겸손한 태도로 학문에 임하려면)' 거친 밥을 먹고, 물을 마시며, 팔을 굽혀 베개 삼더라도 그 가운데 즐거움이 있다. 의롭지 않게 부귀한 것은 나에게 뜬구름과 같은 것이다. 이 장을 보고 공자가 부귀를 멀리하고 곤궁한 생활을 즐겼다고 해석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공자는 가난함을 즐긴 것이 아니라 의로움을 택한 것이다. 그런 떳떳함과 도덕적인 자신감에서 즐거움을 찾은 것이다.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남을 음해해서 많은 재산과 벼슬을 얻으면 마음이 편하지 않다. 하지만 몸은 부귀하게 된다. 인간다움, 정의를 선택하면 몸이 곤궁해질 수 있다. 하지만 양심에 거리낌이 없고, 부끄러울 것이 없다. 살아가면서 무엇을 즐거움으로 삼는지를 ..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23.
논어, 신중하고 계획이 있어야 한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신중하고 계획이 있어야 한다'논어, 술이(겸손한 태도로 학문에 임하려면)' 반드시 일을 대할 때 신중히 경계하고, 계획 세우기를 좋아하여, 성공을 이루어내는 사람이어야 한다. 자로가 공자에게 대군을 이끌고 전쟁터에 나간다면 누구와 함께 갈 것인지를 물었다. 자로는 은근히 용맹한 자신과 함께 갈 것이라는 대답을 기대했을 것이다. 하지만 공자는 맨손으로 범을 잡으려 달려들고,  맨발로 강을 건너려는 자와는 함께 가지 않겠다고 하면서 위의 말을 덧붙였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일본과 치른 23번의 전투에서 모두 이긴 것은, 완벽한 정보 수집과 치밀한 전략 때문이었다. 일을 할 때 용기만 앞세우면 백전백패다. 상황을 신중하게,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계획을 세워야 일을 ..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22.
논어, 스스로 구해야 배울 수 있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스스로 구해야 배울 수 있다'논어, 술이(겸손한 태도로 학문에 임하려면)' 스스로 분발하여 얻기를 구하지 않으면 깨우쳐주지 않는다. 하려는 말이 있는데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아니면 일깨워주지 않는다. (네 귀퉁이가 있는 물건에) 한쪽 귀퉁이를 들었는데, 나머지 세 귀퉁이를 알지 못하면 다시 가르치지 않았다. 배움은 스스로 구해야 한다.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에게 이것저것 잔뜩 가르치려고 하는 것은 시간 낭비다. 배움이 간절한 사람, 그에 대한 성의가 얼굴이나, 말, 행동에 드러나는 사람에게 일러주면 확실한 깨달음을 줄 수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 억지로 가르침을 전해봐야 서로 기운만 뺄 뿐이다. 교육자에게는 배우려는 사람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필요성을..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21.
논어, 욕심에 얽매이지 않으면 자유롭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욕심에 얽매이지 않으면 자유롭다'논어, 술이(겸손한 태도로 학문에 임하려면)' 군자는 마음이 평탄하고, 너그럽게 넒으며, 소인은 마음에 항상 근심이 있다. 양심을 지키고 인간의 도리를 잘 따르는 사람은 항상 마음이 떳떳하고 평탄하다. 스스로에 대해 자신감이 있고, 어떤 것에도 얽매이지 않는다. 재갈을 물리지 않은 야생마처럼 자유롭다. 하지만 소인은 자신의 욕심에 매여 있다.  많은 것을 소유하려는 욕심 때문에 사물을 지배하지 못하고, 사물에 집착한다. 그러니 항시 마음이 편하지 않고 근심이 많다. 더 얻지 못하고, 잃게 되지는 않을까 전전긍긍한다. 재갈을 물리고 눈가리개를 한 경주마와 같다. 마음이 욕심에 좌지우지되고, 욕심을 채우는 것 외에 다른 것을 보지 못해 견해가..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20.
논어, 지나침을 경계하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지나침을 경계하라'논어, 술이(겸손한 태도로 학문에 임하려면)' 지나치게 사치하면 교만해지고, 부족할 정도로 검약하면 고루하다. 그러나 지나친 것보다 차라리 부족한 것이 낫다. 지나친 것이나, 부족한 것이나, 적절하지 못한 것은 매한가지다. 예(禮)에 대해서도 지나치게 성대하게 차린다면 예의와 풍속을 해치고, 위화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례식이나 결혼식을 지나치게 화려하게 행하는 것은 교만함, 불손함으로 비춰질 수 있다. 대중들이 연예인의 초화화 결혼식 소식을 접했을 때 어떤 생각을 하는지 보면 알 수 있다. 반대로 지나치게 절약하면 부족하고 고루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주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지나친 것보다는 조금 부족한 편이 낫다. 중..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19.
논어, 허물을 일러주면 기뻐하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허물을 일러주면 기뻐하라'논어, 술이(겸손한 태도로 학문에 임하려면)' 나는 운이 좋구나. 진실로 나에게 허물이 있으면, 남이 반드시 그것을 알려주는구나. 진나라의 사패 벼슬을 하는 자가 공자에게 노나라의 소공이 예(禮)를 아는지 물었다. 공자는 그렇다고 대답했다. 이에 사패는 공자의 제자인 무마기에게, 소공은 같은 성을 가진 여자에게는 장가를 가면 안 된다는 의 가르침을 어기고 결혼했다며, 공자의 대답이 편파적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공자는 소공을 두둔하거나 사패의 무례를 언짢아하지 않았다. 그저 자신의 허물로 돌리고 기뻐했다. 잘못을 말해주는 사람이 있으면 그를 미워하지 않고 솔직히 인정한 것이다. 누군가 내게 허물을 일러주는 것은 나를 공격하고자 함이 아니다. 잘못..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18.
논어, 성숙한 인격은 온화함으로 드러난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성숙한 인격은 온화함으로 드러난다'논어, 술이(겸손한 태도로 학문에 임하려면)' 공자께서 집에서 한가롭게 계실 때 말은 자상했고, 얼굴빛은 온화했다. 한 사람의 인격이 성숙하면 할수록 그가 하는 말이 따뜻하다. 다정다감하고 온화하게 말한다. 말 속에 날이 서 있지 않고, 상대를 존중하는 마음이 전해진다. 성숙한 사람은 얼굴빛도 온화하다. 표정이 어딘가 일그러져 있거나 불편해 보이는 사람은 믿고 따르기 힘들다. 한 사람의 말이나 표정은 그 사람의 마음 상태를 그대로 보여준다. 성숙한 사람의 마음은 사랑으로 가득 차 있고, 평화롭다. 바깥의 환경에 이리저리 흔들리지 않고, 평정을 유지한다. [출처] 살면서 꼭 한 번은 논어 中▶함께 읽으면 좋은 내용논어, 정말 근심해야 할 ..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17.
논어, 정말 근심해야 할 것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정말 근심해야 할 것'논어, 술이(겸손한 태도로 학문에 임하려면)' 덕을 닦지 않고 학문을 익히지 않으며, 의로운 것을 듣고도 의로 옮겨가지 않고, 선하지 않은 것을 고치지 못하는 것, 이런 것이 나의 근심이다. 우리는 많은 걱정을 하면서 살아간다. 그런데 이런 걱정의 대부분은 생존이나 안전을 위협받거나, 어떤 이익을 얻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서 비롯한다. 하지만 정말 근심해야 할 것은 인간으로서 인간답게 살아가지 못하는 것이다. 공자는 학문과 인격이 성숙하지 못한 상태를 근심한다. 덕을 닦고, 학문을 익히고, 의로움을 실행하고, 허물을 고치는 것은 모두 매일매일 성장하고 새로워지는 길이다. 이를 통해 한층 성숙한 자세로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는 것이다. [출처] ..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16.
논어, 겸손한 자세로 배워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겸손한 자세로 배워라'논어, 술이(겸손한 태도로 학문에 임하려면)' 나는 옛것을 그대로 따라 전할 뿐 새로이 창작하지 않고, 옛것을 믿고 좋아한다. 남몰래 나를 노팽(노나라의 어진 대부)에 견주어 본다. 공자는 을 해설한 을 짓고, 노나라 역사서인 를 편찬했다. 또한, 예악을 정립하고 을 연구하여 불필요한 글자를 삭제하였다. 당시 그의 가르침을 받은 제자가 3천 명에 이르렀다고 할 정도로 활발한 교육활동을 전개했다. 하지만 공자는 이에 대해 자신이 새롭게 만든 것은 없고, 옛것을 그대로 전했을 뿐이라고 겸손하게 말했다. 실제로 그가 완전히 창작한 것은 없을 지언정 고대 여러 성인의 가르침을 집대성하고, 당대에 필요한 지혜를 정리한 것은 보통 일이 아니다. 학문을 연구하..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