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합계출산율2

저출산 원인 대책, '저출산 대책 수준 경악?!' 요즘 언론 매체를 보다 보면 저출산에 대한 원인과 대책 등을 놓고 많은 이야기가 오가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저출산의 다양한 원인과 현 정부의 저출산 대책 등에 대해 팩트를 중심으로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합계출산율 통계와 각종 출산율 순위 통계를 보다보면 한 번쯤은 생각해 보셨을것 내용 같은데요. 과연 우리나라는 인구소멸의 길을 향하고 있는 걸까? 우리나라 완전히 망한 걸까? 하는 생각들도 해보게 되더라구요. 몇 일 전에는 세계적으로 봐도 유독 낮기로 유명한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또 바닥을 뚫었다는 소식도 있었습니다. 합계출산율 저출산에 대해 말씀드리기 전에 합계 출산율에 대한 정의부터 잠시 설명 드리겠습니다. 합계출산율이란 가임기(15~49세) 여성 1명이 평생 아이를 몇 명 낳을지를 추정한 값입니다.. ▷ 유용한 정보/▽ 기타 관심 정보 2023. 9. 5.
통계로 보는 출생아수 / 합계출산율 / 남여별기대수명 / 사망률 최근 여러 채널을 통해 우리 나라의 출생율이 너무 떨어져 인구 정점을 지나 감소단계로 가고 있으며 이대로라면 머지 않은 미래에 다소 적은 인구로 구성된 자치단체들이 다수 소멸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출생율의 감소는 이미 읍, 면 단위의 소규모 인구 지역에서는 산부인과 병원의 폐업으로 이슈가 된 적이 있다. (이미 다수 읍, 면지역에는 산부인과가 없는 곳이 많다) 오늘은 이슈 점검 차원에서 출생아수, 합계출산율, 남여별기대수명, 사망률을 그래프와 통계표로 점검하고 지표해석, 국제간 비교등 다양한 관점에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우선, 통계 확인에 필요한 용어정의! 조출생률: 1년간의 총 출생아수를 당해 연도의 연앙인구(7/1일기준)로 나눈 수치를 1,000분율로 나타낸 것 합계출산율: 한 여성이 가임기간.. ▷ 유용한 정보/▽ 기타 관심 정보 2022. 10.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