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위정편9

논어,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다'논어, 위정(덕을 근본으로 하려면)' 사람으로서 신뢰가 없으면,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 '그 사람이 한 것이라면 믿을 만하다'라는 평을 듣는 사람과 '그 사람이 했다면 다시 한 번 잘 들여댜봐야 한다'는 평을 듣는 사람의 차이는 너무나도 크다. 어릴 때는 사람 사이에 얼마만큼 커다란 차이가 있는지 알기 어렵다. 무엇이든 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사람은 자라면서 어떤 말과 행동을 하고, 사람들과 어떻게 신뢰를 쌓아가느냐에 따라 이전의 가능성이 현실이 될지, 그저 가능성에 그칠지 결과가 달라진다. 신뢰라는 것은 말한 바를 반드시 실천하는 것이다. 헛된 말과 행동을 하지 않고 성실한 것을 가리킨다. [출처] 살면서 꼭 한..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4. 12. 27.
논어, 아는 것을 실천하는 것이 용기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아는 것을 실천하는 것이 용기다'논어, 위정(덕을 근본으로 하려면)' 마땅히 해야 할 일을 보고도 하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 어떤 사람을 위인이라고 하는가? 새로운 것을 발명해 인류에게 편의를 줬거나, 자기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사람을 위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진정 위대한 사람은 자신이 아는 것을 실천하는 사람, 인간이라면 해야 할 일을 외면하지 않고 실천하는 사람이다. 아는 것을 그대로 실천하는 것이 용기다. 용기란 두려움이 없는 것이 아니라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해야 할 일을 하는 것이다. 용기는 말이 아닌 행동으로 증명된다. 행동으로 인간다움을 증명해낸 사람이야말로 진정 용기 있는 사람이고, 위인이다. [출처] 살면서 꼭 한 번은 논어..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4. 12. 26.
논어, 열린 마음으로 다양한 관점을 가져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열린 마음으로 다양한 관점을 가져라'논어, 위정(덕을 근본으로 하려면)' 한 면만이 옳다고 생각해 다른 면을 공격하는 것은 해가 된다. 선글라스를 끼고 바라보면 세상이 모두 어두워 보인다. 우리가 어떤 관점, 기준을 갖고 있느냐에 따라 볼 수 있는 것이 달라진다. 어떤 사물이나 사건을 볼 때 한 면만 보아선 안 된다. 열린 마음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보아야 제대로 판단할 수 있다. 모든 것은 상대적이다. 절대적일 수 없다. 내 관점, 내 생각만 옳다고 주장하면 나와 다른 관점과 생각을 가진 사람은 모두 적이 되어 버린다. 사람을 이해하는 사람이 되려면 다른 사람의 관점이나 의견을 공격하는 데 힘쓰지 말고, 그 사람의 시각에서 바라보려 노력해야 한다. [출처] 살면서 꼭 한..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4. 12. 25.
논어, 의리를 바탕으로 어울려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의리를 바탕으로 어울려라'논어, 위정(덕을 근본으로 하려면)' 군자는 의리를 바탕으로 두루 어울리지만, 소인은 이익을 생각하며 한쪽에 치우친다. 사람과 사귈 때 이익을 우선하면 관계가 오래가지 못한다. 상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사라지면 그 관계도 흐지부지되기 때문이다. 이익이 아닌 의리를 바탕으로 사람을 사귀고, 마음으로 친밀함을 더한다면 건강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아무 때나 편하게 연락하는 친구처럼 많은 사람과 두루 가깝게 지낼 수 있다. 하지만 권력이나 사회적인 신분, 주변의 상황, 이익 등을 염두에 둔 관계는 진정성이 없다. 겉으로는 가깝게 지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환경이 조금만 변해도 소원해질 수 있다. [출처] 살면서 꼭 한 번은 논어 中▶함께 읽..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4. 12. 24.
논어, 행동을 먼저하고 말을 나중에 하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 행동을 먼저하고 말을 나중에 하라'논어, 위정(덕을 근본으로 하려면)' 말하려고 하는 것을 먼저 실행하고, 그 뒤에 그 말을 하라. 자공이 공자에게 어떤 사람이 군자인지 물었다. 공자는 먼저 실행하고 나서 말하는 사람이 군자라고 대답했다. 말만 많은 사람을 보면 믿음이 가지 않는다. 빈 수레가 요란한 법이다. 실제로 행동은 하지 않으면서 말만 앞세우는 사람은 실속이 없다. '진짜'는 말이 많지 않다. '나는 이런 사람이다'하며 주저리주저리 말을 늘어놓지 않고 행동으로 자신을 증명한다. 말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실행하는 것이 어렵다. 말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정말로 해내는 사람은 드물다. [출처] 살면서 꼭 한 번은 논어 中▶함께 읽으면 좋은 내용논어, 리더의 가장..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4. 12. 23.
논어, 리더의 가장 중요한 자질은 정직이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리더의 가장 중요한 자질은 정직이다'논어, 위정(덕을 근본으로 하려면)' 정직한 사람을 등용하여 부정직한 사람보다 높은 자리에 두면 사람들이 따른다. 부정직한 사람을 등용하여 정직한 사람보다 높은 자리에 두면 사람들은 따르지 않을 것이다. 리더의 자질은 무엇일까? 물론 도덕적으로나 능력 면에서나 모두 뛰어난 것이 좋겠지만, 사람들이 좀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높은 도덕성이다. 리더가 아무리 능력이 뛰어나다고 하더라도 정직하지 않다면, 사람들은 자발적으로 따르지 않는다. 반면, 능력이 조금 부족하더라도 도덕적으로 훌륭한 사람은 따르고 싶어 한다. 사람들은 자신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이라면 자신보다 더 도덕적이기를 은연중에 바란다. 가정에서도 마찬가지다. 능력은 부족..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4. 12. 22.
논어, 배움과 사색의 균형을 잡아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배움과 사색의 균형을 잡아라'논어, 위정(덕을 근본으로 하려면)'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얻는 것이 없고, 생각하기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외부의 것을 배우지 않으면 얻는 것이 없고 우물 안 개구리가 될 뿐이다. 그렇다고 남이 생각한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만 하고 스스로 생각하지 않으면 내 것이 되지 않는다. 앵무새처럼 남의 지식을 자기 입으로 이야기한다고 하더라도 자기 것이 아니다. 알고 있지만 아는 것이 아닌, 위태롭고 불안한 지식이다. 배운 것을 따져서 묻고, 깊이 생각하고, 잘 분별해서 실천하는 것이 진정한 배움의 모습이다. 밖에서 배우고 안에서 사색하는 것 사이에서 균형을 잘 잡아야 한다. [출처] 살면서 꼭 한 번은 논어 中▶함께 읽으면 좋은 ..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4. 12. 21.
논어, 말과 행동에 후회가 없으려면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말과 행동에 후회가 없으려면'논어, 위정(덕을 근본으로 하려면)' 여러 사람의 의견을 많이 듣되, 의문이 생기는 것은 제쳐두고 확실한 것만 신중하게 말하라. 그렇게 하면 곧 허물을 줄일 수 있다. 다방면으로 많이 보되, 위태로운 것은 제쳐두고 나머지를 신중하게 행하라. 그렇게 하면 곧 후회를 줄일 수 있다. 말과 행동이 가벼우면 후회할 일이 생긴다. 말을 하기 전에 우선 다양한 의견을 충분히 들어야 한다. 그리고 그중에서 의심이 생기는 것, 애매한 것에ㅐ 대해서는 아예 말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의문이 있는 것은 그 의문이 풀리면 이야기하라. 그 전에는 함부로 입 밖에 내어서는 안 된다. 애매한 것에 대해서도 침묵이 옳다. 행동하기 전에도 다방면으로 많이 살펴본 뒤에 해야..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4. 12. 20.
논어, 내가 행복한 것이 최고의 효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내가 행복한 것이 최고의 효다'논어, 위정(덕을 근본으로 하려면)' 부모 앞에서 밝은 얼굴을 하는 것이 가장 어렵다.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자식이 부모 대신 힘쓰고, 술과 먹을 것을 부모님이 먼저 드시게 하는 것만으로 효라고 할 수 있겠는가? 부모가 원하는 바는 자식에게 대접받는 것이 아니다. 자식이 겉으로 어려운 일을 대신해주고, 좋은 음식을 대접한다 하더라도 얼굴빛이 좋지 않으면 부모의 마음은 불편하다. 이 말은 온화한 얼굴로 부모를 기꺼이 모시라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부모가 자식에게 진정 바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기준점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달리 생각 할 수 있다. 모든 부모는 자식이 자신의 삶을 만족하면서 행복하게 살기 바란다. 부모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4. 12. 19.